반응형 부동산계약주의사항2 등기부등본 믿고 계약했다가 집 뺏기는 경우, 정말 있습니다 부동산 계약할 때등기부등본을 보고 '깨끗하다' 싶으면안심하고 계약 진행하는 분들 많습니다.사실 저도 그랬어요.등기부등본에 내 이름 올라갔고,근저당도 말소된 거 확인했으니더 이상 무슨 문제가 있겠나 싶었거든요.그런데 이게 끝이 아니더라고요.요즘 부동산 사기 수법을 보면등기부등본조차 믿으면 안 되는 상황이 벌어집니다."등기상 소유자 맞는데, 집은 내 거야"라는 말이 현실이 된다고?듣기엔 황당하죠.그런데 실제로 이런 일이 발생합니다.집문서에 분명히 내 이름이 있고,잔금도 정확히 집주인 계좌로 송금했어요.근저당도 다 지워졌고, 등기까지 완료했죠.그런데 갑자기 제3자가 나타나서"이 집, 법적으로 내 거니까 비워줘요"라고 하는 겁니다.그리고 진짜로 그 집이 경매에 넘어가요.도대체 어떻게 이런 일이 벌어질 수 있을까.. 2025. 6. 30. 부동산 계약 마지막 날, 잔금 치를 때 꼭 조심해야 할 두 가지 부동산 계약할 때가장 긴장되는 순간은 '잔금 지급'입니다.살면서 몇 번 없을지도 모르는 일이죠.특히 집을 처음 사고파는 분들이라면,잔금 당일 하루가 그야말로 고비입니다.긴장하거나 설레는 마음에놓치기 쉬운 게 너무 많거든요.💬 잔금 지급, 누구 통장에 보내야 할까요?실제로 제가 들은 사례입니다.“집주인 친구한테 돈을 보냈다가 낭패 봤어요.”이런 일이 왜 생기냐면요.잔금 당일, 집주인이 갑자기 말합니다.“제가 지금 은행 가기 힘들어서요. 대신 제 지인이 받아도 될까요?”이 말 믿고 그대로 보냈다가돈이 엉뚱한 곳으로 가는 경우가 많습니다.잔금은 반드시 ‘등기부등본에 적힌 소유자 명의 계좌’로 입금해야 합니다.현금이나 수표로 건네는 건 더 위험합니다.혹시 수표로 주고받는 상황이라면뒷면에 인적사항을 적고,수표 .. 2025. 6. 24. 이전 1 다음 반응형